저작권관리사 투잡으로 콘텐츠계를 평정할까 저작권관리사 정보수집 해봤어요

알 수 없는 사용자

·

2012. 4. 18. 16:47

오늘은 저작권관리사 부분 포스팅을 해보는데요. 저작권관리사 부분은 저도 관심이 있는 부분이고, 투잡으로 저작권관리사 하여도 무방하므로 자세히 한번 알아봐도 손해날 일은 없을 듯 보이네요.

일단 도해에 나온것처럼 가장 이슈가 된것은 한미FTA 통과 이후 저작권 등록대행, 저작권침해, 분쟁소송, 소송컨설팅이 폭주하고 있는데서 저작권관리사 부분이 요즘 뜨는 키워드인듯 합니다. 저작권관리사는 현재 내가 들어도 생소한 만큼 기업, 단체, 또는 저작권 전문으로 관리하는 곳에서 인력비상 사태입니다. 

내가 발담그면 사람이 많다. 라고 이야기 하시는 분들도 많이 있겠지만 아직 초기시장이고 더욱이 그 활용의 확장성은 매우 크다는 데서 한번쯤 관심을 가져볼만 합니다.

뭐 상위 1%의 고소득이라고까지 말하는 것은 사람의 능력적 부분이므로 곧이듣지 않아도 투잡이라는 부분에서 저는 상당한 매력을 느끼고 있네요^^

우선 뭔지 모르는 상태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개념부터 잡아야 하겠죠. 저작권관리사는 창작자와 이용자의 편익을 도모하기 위해 저작권의 권리취득및 분석을 위한 법률적 기술적 상담과 거래지원을 해주고, 공정한 저작권 계약서 작성, 침해 규제, 문화 상품화를 컨설하는 전문대리인 입니다.

말이 좀 어렵죠. 글자 그대로 타이핑을 해 보았습니다. 개념은 무조건 중요하니까요.

21세기는 컨텐츠 시장의 시대라고 할수 있습니다. 컨텐츠를 다루는 일을 하는 것이 시대상으로 맞는 것이고요. 사양산업과 흥하는 산업이 있습니다. 저작권관리사 부분은 떠오르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죠.

2012년 국가지식재산 1조 7천억원 투자가 확정되어 있습니다.

컨텐츠 사업을 하는데 있어서 이보다 더한 일은 없을 것입니다. 저역시 하루에도 십여개의 컨텐츠를 생산해 내고 있지만 앞으로의 컨텐츠생산 부분에 대한 저작권 문제는 더욱 그 의미와 중요도가 커질 것으로 확신합니다.

얼마나 저작권관리사 일을 하면 돈을 벌수 있을까요?

네이버 지식인을 통해 저도 좀 훑어 보았습니다.

아이디 basic6825님의 답변을 보면 영국에서는 연봉으로 약 28,441파운드 한국돈으로 연봉 약 5천만원정도라고 하네요. 한국에서는 특허대국 ( 4위 ) 저작권은 (9위)의 시장성을 가지고 있다고 하니 전망은 더할 나위 없을 것 같고요.

그림에서 보듯 취업, 창업, 프리랜서, 투잡 활동등 다양한 진로가 있다고 보여지네요.

한국저작권중앙회 이코랜스의 말을 인용해 보겠습니다.

  • 더이상 취업 경쟁은 없다!
    법률사무소, 특허사무소, 법무법인, 행정사무소
    저작권관련기관, 저작권단체, 저작권관련센터
    기업 내 저작권부서, 게임, 출판, 디자인, 방송, 공연 등
    취업, 창업, 프리랜서, 투잡 활동이 가능합니다.

 

현대는 컨텐츠의 방대한 세상입니다. 컨텐츠의 중요성과 저작권의 부분은 중요성을 이루 다 말로 표현할 필요성조차 느끼지 못합니다.  다만 모든 전문가 부분에서 누가 성공하고 못 성공하느냐의 문제는 본인에게 달려있다고 할 수 있겠죠.

더 관심있게 저작권관리사 부분의 영역에 대한 부분을 본다면 한미FTA 부분을 눈여겨 보면 생각이 머무를 것입니다.

자! 이제 저작권관리사 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은 아시겠죠. 아참 저작권관리사 자격증 취득방법 좀 설명해 드려야죠.

학력도 경력도 연령도 필요없이 쉽고 정확하게 준비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한국저작권중앙회에서 자세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현재 한국저작권중앙회에서 저작권관리사 자격취득을 위한 무료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